자세히 보기

By Kim Dal Hun

구글, 온라인 의상 피팅 서비스에 생성형 AI 적용

뉴스
2023.06.193분

구글이 이러한 온라인 옷 쇼핑에 생성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소개했다. 가상의 인물과 공간을 활용해 판매하는 옷을 미리 입어볼 수 있는 온라인 피팅(Fitting) 서비스는 새삼스러울 것이 없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미 많은 솔루션들이 나와 있다. 구글의 서비스 역시 맥락에서 보면 같은 뿌리를 가졌지만 이전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선택했다.

구글이 이러한 온라인 옷 쇼핑에 생성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소개했다. 가상의 인물과 공간을 활용해 판매하는 옷을 미리 입어볼 수 있는 온라인 피팅(Fitting) 서비스는 새삼스러울 것이 없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미 많은 솔루션들이 나와 있다. 구글의 서비스 역시 맥락에서 보면 같은 뿌리를 가졌지만 이전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선택했다.

구글이 미국 고객을 대상으로 생성 AI가 제공하는 가상 의류 착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일부 브랜드의 여성복 상의만 가상 피팅이 가능하며, 모델에 따라 옷이 어떻게 달라붙고, 접히고, 늘어나는지를 생성 AI를 통해 반영해서 보여준다. (자료 : Google)

보통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는 옷을 구매할 본인의 얼굴이나 모습에 선택한 옷을 결합해서 착용했을 때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구글이 선보인 생성 AI 기반 가상 피팅 서비스는 생성형 AI가 제시하는 다양한 모델이 옷을 입은 모습을 보여주고, 새로운 필터를 활용해 원하는 옷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핵심은 옷을 입어볼 모델의 인종, 체형, 피부 톤, 머리 유형, 사이즈(XXS-4XL)를 선택하면, 선택한 옷을 입었을 때 어떻게 보이고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모델은 유형에 따라 선정한 실제 사람 사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앞에서 언급한 조건에 따라 선정한 사람이 옷을 입었을 때 달라지는 부분을 인공지능으로 반영해 이를 구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똑같은 색상과 크기의 옷이라도 선택한 모델의 피부색과 톤, 헤어 스타일, 체형 등에 따라 보이는 느낌이 달라진다. 한 마디로 피팅감이 전혀 다르다는 뜻이다. 이런 변화를 ‘모델+옷’ 형태로 단순하게 사진을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모델이 옷을 입었을 때 접히고, 달라붙고, 늘어나고, 어떻게 주름과 그림자가 생기는 지를 생성 AI를 활용해 반영하는 것이다.

구글은 “실제 옷을 구매하기 전에는 자신에게 어떤 옷이 어울릴지 알기 어렵다. 온라인 쇼핑객의 42%는 모델 이미지가 자신을 잘 표현하지 못한다고 느끼고, 59%는 온라인에서 구매한 상품이 예상과 달라서 불만족스러웠다고 답했다. 이제 검색의 새로운 가상 입어보기 도구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자신에게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FK고 밝혔다.

온라인에서의 가상 피팅 서비스는 우선 미국 고객부터 적용한다. 구글에 입점한 앤쓰로폴리지(Anthropologie), 에버래인(Everlane), H&M, 로프트(LOFT) 등의 브랜드 여성복 상의를 생성 A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입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고객이라면 검색에서 ‘입어보기’ 배지가 있는 제품을 선택한 후 모델을 지정하면 된다. 가상 피팅 서비스는 제품 및 판매자 데이터 세트인 쇼핑 그래프와 함께 제공한다.

구글은 “머신러닝과 새로운 시각적 매칭 알고리즘 덕분에 색상, 스타일, 패턴과 같은 입력을 사용하여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쇼핑하는 것과 달리 한 소매업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웹 전체에 있는 상점의 옵션을 볼 수도 있다. 상의부터 사용할 수 있는 이 기능은 제품 목록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