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이지현
Senior Editor

MS 빼고 총집합?···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등 허깅페이스에 2억 달러 투자

오픈소스 기반 AI 모델 확산을 주도하는 허깅페이스(Hugging Face)가 2억 3,500만 달러(약 3,117억 원) 투자를 유치했다고 CNBC가 24일 보도했다.

이번 투자는 투자 규모도 큰 편이지만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세일즈포스, AMD, 인텔, 퀄컴, IBM이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려 화제를 모으고 있다. 허깅페이스는 이번 투자 소식을 공식 인정하며 앞으로 인재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허깅페이스가 유치한 총투자금은 3억 9,500만 달러(약 5,240억 원)로 기업가치는 45억 달러(약 5조 원)로 평가받고 있다. 

허깅페이스는 2016년 미국에서 설립된 AI 스타트업이다. 직원 수는 170여 명이다. ‘AI 업계의 깃허브’라는 별명을 가진 허깅페이스는 머신러닝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각종 도구 및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최근 AI 개발 붐이 일고 각종 오픈소스 기반의 AI 모델이 허깅페이스에서 공개되면서 허깅페이스의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메타는 직접 개발한 모델 ‘라마2(Llama 2)’를 허깅페이스를 통해 배포하고 있으며, AI 이미지 기술을 선도하는 스테이빌리티AI(Stability AI)의 모델 ‘스테이션 디퓨전(Stable Diffusion)’도 허깅페이스에서 접근할 수 있다. 

주요 빅테크 기업이 허깅페이스에 적극 투자하면서 오픈소스 기반 AI 생태계도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깅페이스는 연구자 1,000여 명과 협업해서 오픈소스 AI 기술을 만드는 ‘빅사이언스(Big Science)’를 주도했으며, 그 결과로 오픈소스 AI 모델 ‘블룸(BLOOM)’을 개발하기도 했다. 허깅페이스는 스스로 이번 투자로 허깅페이스의 성장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AI 시장을 키우는 데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허깅페이스의 CEO인 클레멘트 델랑그(Clement Delangue)는 더버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투자로 허깅페이스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AI 및 플랫폼 구축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은 AI를 직접 구축하기를 원하며 이를 위해 오픈소스 AI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델랑그는 허깅페이스 사용자가 수도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델랑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5년 후에AI 개발자는 1억 명에 달할 수 있다. AI 개발자가 허깅페이스를 매일 사용한다면 허깅페이스는 분명 좋은 위치를 선점하고 있을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허깅페이스에는 50만 개의 AI 모델과 25만 개의 데이터 세트가 올라왔다. 유로 고객 수는 1만여 명이다. 
jihyun_lee@idg.co.kr

이지현

2022년부터 CIO 코리아 책임 기자로 일하며 AI,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등 주요 기술 이슈에 대한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IT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와 리더십 취재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현장을 찾아 업계 흐름을 생생하게 전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한국IDG가 주관하는 콘퍼런스와 조찬 세미나에도 참여하며, 국내 IT 리더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드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CIO 코리아 합류 전에는 2013년부터 기술 전문 매체 블로터에서 IT 기자로 활동했으며, 그보다 앞서 한국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미국 뉴욕에서 1년간 프로그래머 인턴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습니다. 현재도 취미로 프로그래밍을 이어가며, IT 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을 늘 응원하는 마음으로 취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