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시리를 구동할 인공지능 ‘두뇌’를 두고 애플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의 22일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구글과 협력해 맞춤형 제미나이 모델을 시험 중이다. 이 모델은 애플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돼 차세대 시리 음성 비서를 구동하는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현재 구글과 ‘초기 논의 단계’에 있으며, 구글은 애플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동작 가능한 제미나이 AI 어시스턴트 버전을 학습 중이다. 이는 애플이 앤트로픽의 클로드나 오픈AI의 챗GPT와 진행해온 협력 논의와 유사한 방식이다. 애플은 자체 모델을 활용한 차세대 ‘LLM 시리’를 개발하는 동시에, 외부 AI 모델로도 작동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으며, 새로운 시리에 자체 모델을 적용할지, 외부 파트너 기술을 활용할지 최종 결정까지는 “몇 주가 더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애플은 여러 기술이나 제품을 직접 비교·테스트해 가장 적합한 것을 고르는 방식인 일명 ‘베이크오프(bake-off)’ 전략을 택해 내부 개발 차세대 시리(코드명 린우드(Linwood))와 외부 모델 기반 시리(코드명 글렌우드(Glenwood))를 경쟁시키고 있다. 아직 어떤 외부 기술이 최적의 선택인지 결정하지 않았으며, 재무적 조건 역시 합의되지 않았다. 초기에는 앤트로픽의 클로드가 유력 후보였지만, 높은 비용 요구로 인해 애플은 다른 기업과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구글 제미나이 협력은 앞서 보도된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 내 일반 검색 옵션으로 제미나이를 추가하려는 계획과는 별개의 작업이다. 현재 일반 지식 질의에서는 챗GPT만 지원되지만, 애플은 제미나이를 또 다른 옵션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반면 이번 보도의 핵심은 구글이 애플 서버에서 구동되는 차세대 시리의 근간 모델, 즉 제미나이 기반의 ‘두뇌’를 직접 개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dl-ciokorea@foundryco.com